회원 근황
글 수 370
퍼오기가 안돼 옮겨 놉니다.
어느 인터넷 동호회 장례식장 이야기 / 작자미상
인터넷 시대에 따라 다니는 새로운 문화는
닉네임입니다. 이제 닉네임은 이름만큼
중요한 식별도구로 쓰입니다.
누군가 호칭을 할 때도 닉네임을 부르는
일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내가 자주
가는 커뮤니티와 동호회도 마찬가지였지요.
얼마 전 그 동호회의 회원 한 분이 모친상을
당했습니다. 면식있는 회원들에게 연락을 하고
장례식장 앞에서 회원들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영안실을 찾다가 난처한 일을 겪게 되었습니다.
"산꼭대기님 원래 이름이 뭐야?"
"... ...?"
그렇습니다.
달랑 닉네임만 알고 있었는데 막상 영안실을
찾아가려니 실명을 몰라서 초상집을 찾지
못하는 일이 생긴 것이었습니다.
전화를 해서야 이름을 알게 되었고
빈소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거기서 끝난 게 아니었습니다.
부조금은 따로 걷어서 봉투에 담았는데...
안내를 맡은 청년이 방명록에 이름을
적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네댓 명이 와서 머뭇거리다 그냥 가면
더 이상하게 생각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펜을 들어 이름을 적으려다 보니
평범하게 김뭐시기 박뭐시기 이렇게 쓰면\
상주인 회원이 나중에 어떻게 알겠습니까?
늘 부르던 호칭으로 적어야
누가 다녀갔는지 알겠지요.
그래서, 자신있게 닉네임으로 썼습니다.
< 감자양 >과 그 뒤에 있는 회원도 내 의도를
파악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곤 자신의 닉네임을
섰습니다.
< 아무개 >.
그 회원의 닉네임은 아무개였습니다.
데스크에서 안내를 하던 젊은 청년이
난감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다른 회원도 닉네임을 썼습니다.
그의 닉네임은 < 거북이 왕자 >였습니다.
안내를 하던 청년은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는 민망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방명록에 이름을 적는 우리도 민망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얼른 자리를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아직 이름을 적지 못한
회원을 다그쳐 빨리 쓰라고 했습니다.
그 회원은 계속 머뭇거리고 있었습니다.
그의 닉네임은 < 에헤라디아 >.
뒤에서 다그쳤지만 그는 차마 펜을
들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아! 빨리 쓰고 갑시다.
쪽팔려 죽겠어요."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초상집에 와서
< 에헤라디야 > 라고 쓰겠습니까?
얼른 가자니까!
결국 에헤라디야 회원님은 다른 회원들보다
작은 글씨로, 조그맣게 에헤라디야 라고 썼습니다.
그때였습니다.
마지막 남은 회원이 자리를 박차고
영안실을 뛰쳐나가는 것 아니겠습니까?
얼른 자리를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에
모두 큰 소리로 그를 불렀습니다.
"저승사자님, 어디 가세요?"
주변이... 썰렁해졌습니다.
결국 우리는 고개를 숙이며
장례식장을 빠져나와야 했습니다.
어느 인터넷 동호회 장례식장 이야기 / 작자미상
인터넷 시대에 따라 다니는 새로운 문화는
닉네임입니다. 이제 닉네임은 이름만큼
중요한 식별도구로 쓰입니다.
누군가 호칭을 할 때도 닉네임을 부르는
일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내가 자주
가는 커뮤니티와 동호회도 마찬가지였지요.
얼마 전 그 동호회의 회원 한 분이 모친상을
당했습니다. 면식있는 회원들에게 연락을 하고
장례식장 앞에서 회원들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영안실을 찾다가 난처한 일을 겪게 되었습니다.
"산꼭대기님 원래 이름이 뭐야?"
"... ...?"
그렇습니다.
달랑 닉네임만 알고 있었는데 막상 영안실을
찾아가려니 실명을 몰라서 초상집을 찾지
못하는 일이 생긴 것이었습니다.
전화를 해서야 이름을 알게 되었고
빈소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거기서 끝난 게 아니었습니다.
부조금은 따로 걷어서 봉투에 담았는데...
안내를 맡은 청년이 방명록에 이름을
적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네댓 명이 와서 머뭇거리다 그냥 가면
더 이상하게 생각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펜을 들어 이름을 적으려다 보니
평범하게 김뭐시기 박뭐시기 이렇게 쓰면\
상주인 회원이 나중에 어떻게 알겠습니까?
늘 부르던 호칭으로 적어야
누가 다녀갔는지 알겠지요.
그래서, 자신있게 닉네임으로 썼습니다.
< 감자양 >과 그 뒤에 있는 회원도 내 의도를
파악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곤 자신의 닉네임을
섰습니다.
< 아무개 >.
그 회원의 닉네임은 아무개였습니다.
데스크에서 안내를 하던 젊은 청년이
난감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다른 회원도 닉네임을 썼습니다.
그의 닉네임은 < 거북이 왕자 >였습니다.
안내를 하던 청년은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는 민망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방명록에 이름을 적는 우리도 민망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얼른 자리를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아직 이름을 적지 못한
회원을 다그쳐 빨리 쓰라고 했습니다.
그 회원은 계속 머뭇거리고 있었습니다.
그의 닉네임은 < 에헤라디아 >.
뒤에서 다그쳤지만 그는 차마 펜을
들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아! 빨리 쓰고 갑시다.
쪽팔려 죽겠어요."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초상집에 와서
< 에헤라디야 > 라고 쓰겠습니까?
얼른 가자니까!
결국 에헤라디야 회원님은 다른 회원들보다
작은 글씨로, 조그맣게 에헤라디야 라고 썼습니다.
그때였습니다.
마지막 남은 회원이 자리를 박차고
영안실을 뛰쳐나가는 것 아니겠습니까?
얼른 자리를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에
모두 큰 소리로 그를 불렀습니다.
"저승사자님, 어디 가세요?"
주변이... 썰렁해졌습니다.
결국 우리는 고개를 숙이며
장례식장을 빠져나와야 했습니다.


하하 재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