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
글 수 117
대상지 설악산 백운동계곡에서 도둑바위골 계곡
일시 10년 7월 17일-18일
참가자 박성교 김성문 홍원표 이명철 김승준
산행 전날. 대한민국 전국의 하늘은 온통 빗줄기뿐이었습니다. 서울도 늦은 장마로 제법 비가 쏟아졌습니다. 창밖의 비를 바라보며, 텐트 침낭 메트리스 버너 코휄 그리고, 숟가락을 챙길 때의 마음. 아! 이것도 숙명이다!
출발일 새벽. 걷혀오는 어둠 속에서 강일동 명철형 집에 모두들 모였습니다. 형수님의 아침식사를 먹고, 비 속의 설악산을 향해서 6시 40분 출발. 강원도 인제군 그리고, 용대리까지 조금만 과장해서 북한산 우이동가듯 쉽게 도착했습니다. 9시 20분에 백담사가는 셔틀에 몸을 잠시 맡기고, 백담사 입구에서 본격적인 산행 시작.
비는 가늘게 계속 됩니다. 우려했던 폭우는 없고, 간간히 비가 듣고 있습니다. 백담사에서 백운동계곡 입구까지는 거리는 제법되지만, 계속 평지입니다. 영시암에서 잠시 쉬고, 수렴동 거쳐서 백운동 계곡에 도착했습니다. 계곡의 바윗돌을 폴짝 건너뛰어 백운동으로 들어갑니다. 초입부에서 잠시 들어가 점심을 준비했습니다. 점심은 조리가 되어 진공포장된 삼계탕. 네마리를 데워서 맛깔나게 먹었습니다. 준비하고 먹어치우는데 시간은 한시간도 걸리지 않았고, 곧 여장을 갖혀 줄발했습니다.
직백운과 곡백운의 갈림길에서 잠시 방향을 가다듬고, 1383릿지와 함께 귀청으로 내닫는 곡백운으로 접어 들었습니다. 길도 무난하고, 배낭도 가벼워서 인지 발걸음 가볍게 계곡을 올라 쳤습니다. 용범형 비석에서 추도의 시간을 보내고, 백운폭포을 돌파하였습니다. 백운폭포의 수량이 상당했고, 성교형님이 거침없이 올라치셨습니다.
백운폭포를 통과할 때까지는 모두다 의기양양했습니다. 그러나, 백운동 계곡은 호락호락한 곳이 아니었습니다. 내심 성문형이 오늘 밤을 보낼 곳으로 생각한 심마니터는 산사태로 흔적도 찾아볼수 없고, 아슬아슬 무너질듯인 사태 지대와 엄청난 수풀을 통과해야만 했습니다.
백운동계곡은 변형은 생각보다 심했습니다. 심마니터 옆으로 서북주 능선으로 수월하게 오를수 있는 길도 있는데, 어찌하다 이 길을 놓쳤습니다. 이때가 오후 4시경. 계곡은 서쪽으로 휘돌아 가는 지점. 여기서 우리는 계속 올라쳤는데, 우리는 이번 산행의 클라이막스를 맞게 되었습니다.
백운동계곡이 끝나고, 이젠 부쉬를 쳐야만 하는 지점. 행복끝 고생시작인 지점. 또다시 우리의 산행관에 질문을 던지는 지점에서, 성교형은 계곡 전후 좌우로 싸이트를 찾았고, 계곡의 평이한 사태지대에 터를 잡아 싸이트를 잡자는 의견까지 있었지만, 멀찌기서 열심히 싸이트를 찾는 성교형의 모습을 성문 원표 명철 승준은 성교형은 여전히 빡센 산행을 원하고 계시고, 이 정도의 부쉬는 치고 넘어가야 되는 것은 아니야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착각해, 성교형께 저희들은 서북주능선으로 올라치기로 했다고 말씀드리고, 백운동의 수풀 속으로 뛰어들었습니다. 나중에 귀청 싸이트에서 성교형은 우리의 결심에 속으론 경악하셨다고 합니다.
그때, 시각은 오후 4시 20분경. 날씨는 흐리지만, 여름해가 7시에 저문다고 할 때, 우리에겐 2시간 30분가량 랜턴없이 운행할 수 있고, 이 시간동안 무슨 수를 쓰던 서북주에 도착할 수 있을 자신감은 있었습니다. 지형을 살피고, 가장 높아 보이는 곳으로 방향을 잡고, 올라쳤습니다. 이렇게 한시간 이상을 부쉬를 치던 저는 지쳐갔고, 정확히는 정돈안된 배낭 매트리스가 수풀사이에 끼여 고생되었습니다. 울창한 수풀위에 떠있을때 옆으로 돌던 성교형은 꼬구라지면서 안경을 잃어먹는 불상사까지 발생하며, 이 흐린 안개 속 어둠컴컴한 수풀에서 선글라스를 끼게 되었습니다. 마지막부분에서 성문형과 원표형이 우측 가지능선쪽으로 돌아서 서북주능선 도착했습니다. 반짝이는 햇살과 상그러운 바람 그리고, 저 멀리 푸른 동해바다가 우릴 반기는 것이 아니고, 휘몰아지는 거센 바람, 거센 바람 속에 얼굴을 사정없이 때리는 빗줄기. 귀때기청봉이 이런 날씨에 여길 기어이 올라올 우리에게 저희들 바보아냐 하여 고함을 내지르는 것 같았습니다.
귀때기청봉에서 휘몰아치는 바람속에 서로의 건재함을 확인한 뒤, 한계령으로 한달음에 달릴 마음이었지만, 냉정을 찾아 귀청 정상에서 바람에 노출되지 않은 싸이트에 자리를 잡기로 했습니다. 능숙한 솜씨로 텐트치고, 각자 마른 옷으로 갈아 입고, 텐트 속에 자리잡습니다.
부족한 물이지만, 성문형의 막강 장비인 울트라 라이트 압력 밥솥에 밥을 짓기 시작합니다. 구수한 밥내음 속에. 불고기 굽고 소주 한잔하고. 성교형이 준비하신 위스키도 돌리고. 좁은 텐트안에서 푸닥거리라도 할 것 같은 열띤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아! 이것도 숙명인가 봅니다. 대화의 주제는 배려! 음!
다음날 새벽 5시 기상. 어제 지어놓은 밥먹고, 텐트 뽀개고, 개인적으론 물먹은 침낭 꽉꽉 짜고. 한계령으로 가벼운 발걸음. 설악은 그리고, 귀청은 여전히 간간히 비와 짙은 안개. 항상 이국적인 느낌의 귀청 너덜지대를 통과한 후, 한계령 갈림길 직전에 잠시 휴식을 취하는데, 말릴 겨를도 없이 성교형이 도둑바위길로 내리칩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성교형은 계곡 내리치는 것을 상당히 재미있어 하는 것 같습니다. 산뜻한 능선 종주의 산행은 다시 종지부를 찍고, 다시 설악 도둑바위골의 부쉬 속으로. 이쪽도 만만한 부쉬는 아닙니다. 그러나, 내려가는 길이라 어제보다는 덜 합니다. 30분 가량 내려와, 훌륭한 비박 싸이트를 만나게 되었고, 여기에서 오른쪽 사태 지대로 빠져 나간후, 우린 부쉬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조심스럽게 길을 찾았고, 두어번 계곡을 건너면서 길을 따라 내려왔습니다. 그렇게 시간반을 내려오니, 한계령 국도 길에 다다를수 있었습니다. 국도변 계곡에서 모두 재단장하고 한계령 휴게소에서 옥수수막걸리를 걸치며, 지난 산행을 음미하고, 앞으로의 산행을 기약하며 마무리지었습니다.
일시 10년 7월 17일-18일
참가자 박성교 김성문 홍원표 이명철 김승준
산행 전날. 대한민국 전국의 하늘은 온통 빗줄기뿐이었습니다. 서울도 늦은 장마로 제법 비가 쏟아졌습니다. 창밖의 비를 바라보며, 텐트 침낭 메트리스 버너 코휄 그리고, 숟가락을 챙길 때의 마음. 아! 이것도 숙명이다!
출발일 새벽. 걷혀오는 어둠 속에서 강일동 명철형 집에 모두들 모였습니다. 형수님의 아침식사를 먹고, 비 속의 설악산을 향해서 6시 40분 출발. 강원도 인제군 그리고, 용대리까지 조금만 과장해서 북한산 우이동가듯 쉽게 도착했습니다. 9시 20분에 백담사가는 셔틀에 몸을 잠시 맡기고, 백담사 입구에서 본격적인 산행 시작.
비는 가늘게 계속 됩니다. 우려했던 폭우는 없고, 간간히 비가 듣고 있습니다. 백담사에서 백운동계곡 입구까지는 거리는 제법되지만, 계속 평지입니다. 영시암에서 잠시 쉬고, 수렴동 거쳐서 백운동 계곡에 도착했습니다. 계곡의 바윗돌을 폴짝 건너뛰어 백운동으로 들어갑니다. 초입부에서 잠시 들어가 점심을 준비했습니다. 점심은 조리가 되어 진공포장된 삼계탕. 네마리를 데워서 맛깔나게 먹었습니다. 준비하고 먹어치우는데 시간은 한시간도 걸리지 않았고, 곧 여장을 갖혀 줄발했습니다.
직백운과 곡백운의 갈림길에서 잠시 방향을 가다듬고, 1383릿지와 함께 귀청으로 내닫는 곡백운으로 접어 들었습니다. 길도 무난하고, 배낭도 가벼워서 인지 발걸음 가볍게 계곡을 올라 쳤습니다. 용범형 비석에서 추도의 시간을 보내고, 백운폭포을 돌파하였습니다. 백운폭포의 수량이 상당했고, 성교형님이 거침없이 올라치셨습니다.
백운폭포를 통과할 때까지는 모두다 의기양양했습니다. 그러나, 백운동 계곡은 호락호락한 곳이 아니었습니다. 내심 성문형이 오늘 밤을 보낼 곳으로 생각한 심마니터는 산사태로 흔적도 찾아볼수 없고, 아슬아슬 무너질듯인 사태 지대와 엄청난 수풀을 통과해야만 했습니다.
백운동계곡은 변형은 생각보다 심했습니다. 심마니터 옆으로 서북주 능선으로 수월하게 오를수 있는 길도 있는데, 어찌하다 이 길을 놓쳤습니다. 이때가 오후 4시경. 계곡은 서쪽으로 휘돌아 가는 지점. 여기서 우리는 계속 올라쳤는데, 우리는 이번 산행의 클라이막스를 맞게 되었습니다.
백운동계곡이 끝나고, 이젠 부쉬를 쳐야만 하는 지점. 행복끝 고생시작인 지점. 또다시 우리의 산행관에 질문을 던지는 지점에서, 성교형은 계곡 전후 좌우로 싸이트를 찾았고, 계곡의 평이한 사태지대에 터를 잡아 싸이트를 잡자는 의견까지 있었지만, 멀찌기서 열심히 싸이트를 찾는 성교형의 모습을 성문 원표 명철 승준은 성교형은 여전히 빡센 산행을 원하고 계시고, 이 정도의 부쉬는 치고 넘어가야 되는 것은 아니야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착각해, 성교형께 저희들은 서북주능선으로 올라치기로 했다고 말씀드리고, 백운동의 수풀 속으로 뛰어들었습니다. 나중에 귀청 싸이트에서 성교형은 우리의 결심에 속으론 경악하셨다고 합니다.
그때, 시각은 오후 4시 20분경. 날씨는 흐리지만, 여름해가 7시에 저문다고 할 때, 우리에겐 2시간 30분가량 랜턴없이 운행할 수 있고, 이 시간동안 무슨 수를 쓰던 서북주에 도착할 수 있을 자신감은 있었습니다. 지형을 살피고, 가장 높아 보이는 곳으로 방향을 잡고, 올라쳤습니다. 이렇게 한시간 이상을 부쉬를 치던 저는 지쳐갔고, 정확히는 정돈안된 배낭 매트리스가 수풀사이에 끼여 고생되었습니다. 울창한 수풀위에 떠있을때 옆으로 돌던 성교형은 꼬구라지면서 안경을 잃어먹는 불상사까지 발생하며, 이 흐린 안개 속 어둠컴컴한 수풀에서 선글라스를 끼게 되었습니다. 마지막부분에서 성문형과 원표형이 우측 가지능선쪽으로 돌아서 서북주능선 도착했습니다. 반짝이는 햇살과 상그러운 바람 그리고, 저 멀리 푸른 동해바다가 우릴 반기는 것이 아니고, 휘몰아지는 거센 바람, 거센 바람 속에 얼굴을 사정없이 때리는 빗줄기. 귀때기청봉이 이런 날씨에 여길 기어이 올라올 우리에게 저희들 바보아냐 하여 고함을 내지르는 것 같았습니다.
귀때기청봉에서 휘몰아치는 바람속에 서로의 건재함을 확인한 뒤, 한계령으로 한달음에 달릴 마음이었지만, 냉정을 찾아 귀청 정상에서 바람에 노출되지 않은 싸이트에 자리를 잡기로 했습니다. 능숙한 솜씨로 텐트치고, 각자 마른 옷으로 갈아 입고, 텐트 속에 자리잡습니다.
부족한 물이지만, 성문형의 막강 장비인 울트라 라이트 압력 밥솥에 밥을 짓기 시작합니다. 구수한 밥내음 속에. 불고기 굽고 소주 한잔하고. 성교형이 준비하신 위스키도 돌리고. 좁은 텐트안에서 푸닥거리라도 할 것 같은 열띤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아! 이것도 숙명인가 봅니다. 대화의 주제는 배려! 음!
다음날 새벽 5시 기상. 어제 지어놓은 밥먹고, 텐트 뽀개고, 개인적으론 물먹은 침낭 꽉꽉 짜고. 한계령으로 가벼운 발걸음. 설악은 그리고, 귀청은 여전히 간간히 비와 짙은 안개. 항상 이국적인 느낌의 귀청 너덜지대를 통과한 후, 한계령 갈림길 직전에 잠시 휴식을 취하는데, 말릴 겨를도 없이 성교형이 도둑바위길로 내리칩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성교형은 계곡 내리치는 것을 상당히 재미있어 하는 것 같습니다. 산뜻한 능선 종주의 산행은 다시 종지부를 찍고, 다시 설악 도둑바위골의 부쉬 속으로. 이쪽도 만만한 부쉬는 아닙니다. 그러나, 내려가는 길이라 어제보다는 덜 합니다. 30분 가량 내려와, 훌륭한 비박 싸이트를 만나게 되었고, 여기에서 오른쪽 사태 지대로 빠져 나간후, 우린 부쉬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조심스럽게 길을 찾았고, 두어번 계곡을 건너면서 길을 따라 내려왔습니다. 그렇게 시간반을 내려오니, 한계령 국도 길에 다다를수 있었습니다. 국도변 계곡에서 모두 재단장하고 한계령 휴게소에서 옥수수막걸리를 걸치며, 지난 산행을 음미하고, 앞으로의 산행을 기약하며 마무리지었습니다.


역쉬... 그저 글빨은 승준이야.. 계속 연재하길...